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대형 폐기물 배출 방법 완벽 정리 – 신고부터 스티커 출력까지

by Wihey 2025. 3. 24.

이사를 가거나 오래된 가구를 교체할 때 가장 고민되는 것 중 하나.

바로 침대, 책상, 장롱, 냉장고 같은 대형 폐기물을 어떻게 처리하느냐입니다.

일반 쓰레기처럼 버릴 수 없고, 마구 내다 놓으면 불법투기로 과태료 부과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전 신고’ + ‘스티커 부착’을 반드시 해야 하죠.

이 글에서는 **서울시 및 송파구 기준을 중심으로**,

대형 폐기물 배출 절차, 비용, 스티커 출력법, 아파트 거주자의 경우 처리 방법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


 

✅ 1. 대형 폐기물이란?

가로·세로·높이 중 한 변의 길이가 50cm 이상이거나, 종량제 봉투에 담을 수 없는 물건은 대형 폐기물로 분류됩니다.

📌 예시

  • 침대, 옷장, 책상, 소파, 의자
  • 냉장고, 세탁기, TV, 전자렌지
  • 행거, 전신거울, 매트리스
  • 프린터, 러닝머신 등 중형 가전

 


 

📝 2. 대형 폐기물 배출 절차

대형 쓰레기를 버릴 때는 보통 아래 4단계 절차를 따릅니다.

  1. 폐기물 신고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2. 수수료 납부
  3. 배출 스티커 출력 또는 수령
  4. 지정된 장소에 배출 + 스티커 부착

❗ 스티커 없이 무단 배출 시 최대 10만 원 이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 3. 온라인 신고 방법 (서울시 기준)

서울시 거주자는 서울시 대형폐기물 신고센터에서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 절차 안내

  1. 홈페이지 접속 후 자치구 선택
  2. 배출 품목 선택 + 규격 입력
  3. 자동 수수료 계산 → 결제
  4. 스티커 출력 또는 문자 수령
  5. 배출일자 및 장소 지정 → 배출

📎 스티커 수령 방식

  • 📄 프린터 출력 가능 (직접 부착)
  • 📱 문자로 수령 → 수기 작성 허용

 


 

💰 4. 배출 수수료는 얼마나?

품목과 크기에 따라 다르며, 서울시의 경우 1,000원 ~ 10,000원 내외입니다.

  • 의자 – 2,000원
  • 싱글 매트리스 – 5,000원
  • 2단 옷장 – 10,000원
  • 책상(중형) – 4,000원

✅ 수수료는 신고 시 자동 계산되며, 온라인/카드 결제가 가능합니다.

 


 

🏢 5. 아파트 거주자의 경우 – 경비실 또는 관리사무소 이용

아파트에 거주하는 경우, 온라인 신고 없이도 경비실 또는 관리사무소를 통해 간단히 처리할 수 있습니다.

  • 📌 폐기물 종류 및 수량을 경비실에 전달
  • 📌 수수료 현장 납부 또는 관리비에 포함
  • 📌 스티커를 직접 받거나, 경비원이 직접 부착
  • 📌 지정된 장소·시간에 맞춰 배출

⚠️ 단지별로 처리 방식이 다를 수 있으므로 반드시 관리사무소에 문의 후 배출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6. 꼭 알아두어야 할 주의사항

  • ✅ 스티커는 눈에 잘 보이게 부착
  • ✅ 지정일 저녁 8시 이후에만 배출
  • ❌ 비오는 날에는 방수 덮개 필요
  • ❌ 무단 배출 또는 품목 불일치 시 과태료

📦 일부 가전제품은 무상 수거 가능

냉장고, 세탁기, TV 등 주요 가전제품한국전자제품자원순환공제조합(ERP)에서 무상 방문 수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참고 링크

 


 

대형 폐기물은 무조건 버린다고 끝이 아닙니다. 정해진 절차를 지켜야만 안전하고 법적으로 문제 없이 처리할 수 있어요.

특히 아파트 거주자는 경비실이나 관리사무소를 통해 더 쉽게 처리할 수 있으니 무단 배출로 인한 불이익 없이 정확한 절차로 깔끔하게 처리해보세요!